소셜 미디어 용어 때문에 혼란을 겪고 계신가요?
소셜리스닝과 소셜미디어 모니터링의 정의는 어떻게 다를까?
전환율과 도달율의 실제 차이점은 무엇일까?
CPC, CVR, CTR, PPC 같은 약어가 너무 많고 헷갈려!
위와같은 고민을 해보신적이 있나요?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용어와 그 정의를 명확히 파악해 차이점을 알아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 마케터, 브랜드 담당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소셜 미디어 용어집을 준비했습니다.🎉
용어가 헷갈리거나 어려웠던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용어집 목록
A/B testing (A/B테스트)
Ads Manager (광고 관리자)
Algorithm (알고리즘)
Analytics (분석)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Audience (청중)
Average response time (평균 응답 시간)
Business-to-Business (B2B: 기업 대 기업)
Business-to-Consumer (B2C: 기업 대 소비자)
Bio (바이오)
Boosted post (부스팅된 포스트)
Brand advocate (브랜드 옹호자)
Brand awareness (브랜드 인지도)
Business Manager (비즈니스 관리자)
Chatbot (챗봇)
Clickthrough rate (CTR: 클릭률)
Content moderation (컨텐츠 검토)
Conversion rate (CVR: 전환율)
Cost per click (CPC: 클릭당 비용)
Cost per mille (CPM: 1,000회당 비용)
Crisis management (위기 관리)
Cross-channel (크로스 채널)
Crowdsourcing (크라우드 소싱)
Dark post (다크 포스트)
Dark social (다크 소셜)
Direct message (DM: 다이렉트 메시지)
Disappearing content (사라지는 컨텐츠)
Employee advocacy (직원 지원)
Engagement rate (참여율)
Evergreen content (지속 가능한 컨텐츠)
Feed (피드)
Follower (팔로워)
For You page (FYP)
Frequency (프리퀀시)
Geotargeting (지오타게팅)
Hashtag (해시태그)
Header image (헤더 이미지)
Impressions (임프레션)
Instagram Collabs (인스타그램 콜라보)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주요 성과 지표)
Metric (메트릭)
Native advertising (네이티브 광고)
Newsjacking (뉴스재킹)
Objectives (목표)
Pay-per-click (PPC: 클릭당 비용)
Paid partnership (유료 파트너십)
Platform (플랫폼)
Reach (리치)
Relevance score (관련성 점수)
Retargeting (리타겟팅)
Sentiment analysis (감성 분석)
Shareable content (공유가능한 컨텐츠)
Social customer service (소셜 고객 서비스)
Social listening (소셜 리스닝)
Social media monitoring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Social media ROI (소셜 미디어 ROI)
Social selling (소셜 셀링)
Sponsored post (스폰서 포스트)
Targeting (타겟팅)
Traffic (트래픽)
Trending topic (트렌딩 토픽)
User-generated content (UGC: 사용자 생성 컨텐츠)
Vanity metric
Viral (바이럴)
A/B Testing (A/B테스트)
A/B 테스트는 두 개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잘 수행되는지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스플릿 테스트라고도 불리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두 버전 사이에서 한 가지 요소(예: 제목, 이미지, CTA 등)만 변경하여 수행합니다.
Ads Manager (광고 관리자)
광고 관리자는 페이스북의 소셜 광고를 생성, 실행,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또는 오디언스 네트워크에서 광고 캠페인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타게팅, 예산 책정,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Algorithm (알고리즘)
소셜 미디어 용어에서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피드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이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피드에서 어떤 게시물이 먼저 표시될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규칙 집합입니다. 예를 들어, TikTok이 댓글이 많은 게시물을 우선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면, 피드 알고리즘의 규칙을 조정하여 이러한 게시물을 상위에 배치합니다.
Analytics (분석)
분석은 소셜 미디어 성과의 메트릭을 추적하고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략을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참여율을 장기간에 걸쳐 관찰하여 게시물이 팔로워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소셜 분석을 활용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소셜 분석에 대한 심층 정보는 '인스타그램 분석'을 참조하세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API는 프로그래머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블록들의 집합입니다. 소셜 미디어와 관련해서는, 주요 소셜 네트워크는 모두 자신만의 API를 가지고 있어 프로그래머가 네트워크와 함께 작동하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게 합니다. TikTok과 같은 플랫폼과 통합하기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 API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udience (오디언스:청중)
소셜 미디어 대상은 콘텐츠로 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의 그룹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모든 팔로워와 피드에서 게시물을 보는 사람들도 포함됩니다. 소셜 미디어 대상을 확장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Average response time (평균 응답 시간)
평균 응답 시간은 소셜 고객 서비스 메트릭입니다. 이는 브랜드가 소셜 미디어에서 질문이나 불만에 답변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최근 몇 년간 소셜 고객 지원 응답 시간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높아지면서, 이제 고객의 46%가 4시간 이내에 응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Business-to-Business (B2B: 기업 대 기업)
B2B 비즈니스는 컨설팅 회사나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회사처럼 다른 비즈니스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합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B2B 브랜드는 자주 업계에서 사상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동료 기업에게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Business-to-Consumer (B2C: 기업 대 소비자)
B2C 비즈니스는 호텔이나 소매점처럼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합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B2C 기업은 종종 브랜드 주변에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뛰어난 소셜 고객 관리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Bio (바이오)
소셜 미디어 바이오는 프로필에 있는 짧은 설명으로, 당신이 누구인지 사람들에게 알려줍니다. 또한, 웹사이트나 다른 계정의 링크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장소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구 트위터)에서는 바이오라고 하며, LinkedIn에서는 요약(Summary)이라고 부릅니다.
Boosted post (부스팅된 포스트)
부스팅된 포스트는 도달 범위를 늘리기 위해 돈을 들여 홍보한 게시물입니다. 홍보된 게시물이라고도 불리며, 처음에는 유기적으로 게시되었다가 추가 유료 도달을 얻는 방식에서 광고와 다릅니다. 유료 광고와 마찬가지로 부스팅된 포스트는 특정 대상을 타겟으로 하고, 정확한 기간과 예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Brand advocate (브랜드 옹호자)
소셜 미디어에서 브랜드 옹호자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게시하거나 긍정적인 리뷰를 남기거나 그 외 다른 방식으로 브랜드를 지원하는 고객을 의미합니다. 브랜드 옹호자는 또한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이 당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옹호자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훌륭한 방법이지요. #충성고객 #옹호고객 #팬
Brand awareness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인지도는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준입니다. 이는 종종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또한 유료 광고 캠페인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목표 중 하나입니다. 브랜드 인지도는 임프레션이나 리치로 측정될 수 있으며, 광고 리콜 상승(광고를 본 후 브랜드를 기억할 사용자 수의 추정치)을 통해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Business Manager (비즈니스 관리자)
페이스북 비즈니스 관리자는 Meta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조직이 페이지, 광고 계정 및 팀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비즈니스의 광고, 재정, 사용자 및 페이지를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며,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회사 데이터와 계정 접근 권한이 개인 사용자가 아닌 회사의 통제 하에 있도록 법적 및 실질적으로 보장합니다.
Chatbot (챗봇)
챗봇은 회사의 고객 상호작용을 자동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입니다. 챗봇은 인스타그램에서 슬랙에 이르기까지 여러 소셜 메시징 앱에 구현될 수 있습니다. 챗봇은 고객 서비스, 질문에 대한 답변, 심지어는 자동으로 약속을 잡는 역할까지 수행한답니다.
Clickthrough rate (CTR: 클릭률)
소셜 미디어에서 클릭률은 게시물을 본 사람 중 클릭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클릭률은 네트워크마다 다르게 측정되며, 소셜 네트워크마다 '클릭'과 '조회'의 정의가 다를 수 있습니다.
Content moderation (컨텐츠 검토)
콘텐츠 검토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검토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브랜드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브랜드에 대해 온라인에 게시된 콘텐츠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지 확인하는 것까지 다양한 작업을 포함합니다. 본질적으로, 콘텐츠가 공개되기 전에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Request_for_approval
Conversion rate (CVR: 전환율)
소셜 미디어 용어에서 전환율은 게시물이나 광고를 본 사용자 중 특정 행동을 취한 사람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행동은 '전환'이라고 하며, 제품 구매, 뉴스레터 가입, 전자책 다운로드 등 다양한 행위일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목표가 전환율을 높이는 것이라면, CVR은 게시물이나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메트릭입니다.
Cost per click (CPC: 클릭당 비용)
클릭당 비용은 소셜 미디어 광고 지표로, 광고 클릭당 평균 비용을 나타냅니다. 마케팅 목표가 랜딩 페이지나 콘텐츠로 트래픽을 유도하는 것이라면, CPC가 낮을수록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트래픽을 얻을 수 있는 반면, CPC가 높으면 트래픽 유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CPC는 타겟 대상, 타겟 위치, 광고의 관련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ost per mille (CPM: 1,000회당 비용)
CPM은 또 다른 소셜 미디어 광고 지표입니다. 이는 1,000회 임프레션당 지불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 광고를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키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면, CPM은 중요한 메트릭입니다. CPC와 마찬가지로, CPM은 타겟팅 옵션과 광고의 품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Crisis management (위기 관리)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는 회사의 평판에 잠재적으로 해를 끼칠 수 있는 사건이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회사의 누군가가 부적절한 게시물을 올리거나 브랜드에 대한 소셜 미디어 보이콧이 발생하는 경우, 소셜 미디어 위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부정이슈 #보이콧 #불매 #위기감지시스템
Cross-channel (크로스 채널)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각 네트워크(인스타그램, 틱톡 등)는 마케팅 채널입니다. 크로스 채널이란 여러 소셜 네트워크에 걸쳐 작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로써, 크로스 채널 소셜 전략은 브랜드가 존재하는 소셜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목표를 일치시키는 전략입니다.
Crowdsourcing (크라우드 소싱)
소셜 미디어에서 크라우드소싱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그룹의 사람들을 이용해 아이디어, 서비스 또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팔로워들은 브랜드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느끼며, 브랜드에 대한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로워들에게 신제품의 이름을 투표하게 하거나 다가오는 광고에 사용할 노래를 제출하게 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당신의_00에_투표해_주세요
Dark post (다크 포스트)
다크 포스트는 광고주의 타임라인에 표시되지 않는 소셜 미디어 광고입니다. 유기적인 게시물이나 부스팅된 게시물과 달리, 다크 포스트는 타겟팅된 사용자들의 피드에만 나타납니다. “다크 포스트”는 비공식적인 용어이며, 페이스북에서는 “게시되지 않은 페이지 게시물(unpublished page posts)”이라고 부르며, 트위터에서는 “홍보 전용 트윗(promoted-only tweets)”, 링크드인에서는 “다이렉트 스폰서 콘텐츠(direct sponsored content)”라고 부릅니다. 아울러 인스타그램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광고가 다크 포스트로 설정됩니다. #타겟마케팅 #광고포스트
Dark social (다크 소셜)
다크 소셜은 다크 포스트와 종종 혼동되지만, 두 가지 소셜 미디어 용어는 실제로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다크 소셜은 크롤링 툴이 트래킹하기 어려운 소셜 미디어의 웹 트래픽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사용자가 소셜에서 링크를 비공개로 공유할 때 발생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 콘텐츠 공유의 84%가 다크 소셜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비공개게시글 #비공개계정
Direct message (DM: 다이렉트 메시지)
다이렉트 메시지는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받은 편지함으로 직접 전송되는 개인 메시지입니다. DM은 이미지에 댓글을 달거나 사용자의 타임라인에 게시하는 것과 같은 공개적인 상호작용과 대조됩니다.
Disappearing content (사라지는 컨텐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는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말합니다. 인스타그램 스토리가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 및 동영상 스토리는 24시간 후에 사라집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사라지는 콘텐츠는 자발적이고 시의적절하게 사용됩니다. #인스타그램스토리 #스냅챗스토리
Employee advocacy (직원들의 지원)
회사의 동료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브랜드를 지원하고 홍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브랜드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회사의 브랜드 메시지를 증폭시키거나, 회사 게시물에 자주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다는 등의 행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브랜드 메시지가 직원에 의해 공유되었을 때 도달 범위가 561% 증가했다고 합니다. #셀프홍보(?)
Engagement rate (소비자 반응, 참여율, 상호작용, 인게이지먼트)
참여율은 게시물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지를 나타내는 소셜 미디어 메트릭입니다. 이는 (게시물과 상호작용한 사람 수 / 게시물을 본 사람 수) x 100%로 정의됩니다. 일반적으로, 참여율이 높을수록 게시물이 더 매력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여율은 소셜 네트워크 간에 비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각 네트워크에서 "상호작용"과 "게시물을 본다"는 것이 서로 다르게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게시물을 본다"는 것은 리치 또는 임프레션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에는 좋아요, 댓글, 공유, 반응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좋아요 #댓글 #공유와 같은 상호작용과 #조회는 다른 지표랍니다.
Evergreen content (에버그린 컨텐츠)
콘텐츠 마케팅에서 지속 가능한 콘텐츠는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유지되는 콘텐츠를 말합니다. 지속 가능한 콘텐츠는 유효기간이 없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에서 재활용하고 재사용하기에 이상적입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마케터로서의 도전 과제에 관한 기사는 틱톡의 최신 기능 업데이트에 관한 기사보다 지속 가능성이 더 큽니다.
Feed (피드)
소셜 미디어에서 피드는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를 보는 스트림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에서 피드는 홈페이지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게시물을 보고 상호작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Follower (팔로워)
팔로워는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자가 게시물을 피드에서 보기 위해 선택한 사용자입니다. 개인 계정과 비즈니스 계정 모두 팔로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팔로워 수는 소셜 미디어에서 대상이 얼마나 성장하거나 축소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메트릭입니다.
For You page (FYP)
"For You" 페이지, 또는 FYP는 틱톡에서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동영상으로 큐레이팅된 피드를 의미합니다. 틱톡의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앱에서 상호작용한 다른 콘텐츠를 바탕으로 이러한 동영상을 추천합니다. 브랜드의 콘텐츠가 대상의 FYP에 올라가는 것은 틱톡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입니다. #틱톡_알고리즘
Frequency (프리퀀시)
광고가 타겟 대상의 평균 사용자에게 얼마나 자주 표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광고 용어입니다. 이는 총 광고 임프레션 수를 총 광고 리치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빈도가 1.00 이상이면 일부 사용자가 광고를 여러 번 보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목표가 브랜드 인지도와 광고 리콜을 높이는 것이라면 긍정적인 결과일 수 있지만, 빈도가 매우 높으면 광고를 너무 자주 노출시켜 예산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Geotargeting (지오타게팅)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지오타게팅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대부분의 광고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의 지역, 국가, 주, 도시, 우편번호, 또는 주소에 따라 타겟 대상을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특정 지리적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광고 세트를 생성하고 타겟팅할 수 있습니다.
Hashtag (해시태그)
해시태그(#)는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게시물을 동일한 주제나 트렌딩 토픽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특정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해당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모든 공개 게시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드컵 관련 콘텐츠를 찾는 사용자는 #WorldCup이나 #FIFA와 같은 해시태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터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어떤 것이 트렌드인지 확인하기 위해 해시태그의 인기를 시간에 따라 추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Header image (헤더 이미지)
헤더 이미지 또는 커버 사진은 소셜 미디어 프로필 상단에 배치되는 시각적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가로 형식으로, 헤더 이미지는 프로필 사진보다 훨씬 크며 프로필 방문자에게 자신이나 브랜드를 소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사진을 보완하거나 개성을 보여주거나 제품이나 이벤트를 홍보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Impressions (임프레션)
임프레션은 소셜 미디어 메트릭으로, 사용자의 피드에서 게시물이 표시된 횟수를 측정합니다. 리치와는 달리, 한 사용자가 동일한 게시물을 여러 번 본 경우에도 여러 임프레션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각 소셜 네트워크마다 임프레션 계산법은 다릅니다.
Instagram Collabs (인스타그램 콜라보)
인스타그램 콜라보는 인스타그램에서 게시물을 공동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크리에이터나 브랜드는 다른 계정을 소셜 미디어 게시물에 협업하도록 초대할 수 있습니다. 계정이 초대를 수락하면, 그들의 사용자 이름이 게시물에 추가되고, 게시물은 양쪽 계정의 팔로워들과 두 프로필에 공유됩니다.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주요 성과 지표)
주요 성과 지표(KPI)는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진행 상황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메트릭입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KPI는 소셜 전략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적해야 할 가장 중요한 통계입니다. 예를 들어, 소셜에서 주요 목표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라면, 게시물 도달 범위나 광고 리콜 상승이 KPI가 될 수 있습니다.
Metric (메트릭)
소셜 미디어 메트릭은 게시물, 광고 또는 전체 계정의 성과를 측정하는 통계입니다. 소셜 미디어 관리자들은 메트릭을 사용하여 어떤 콘텐츠나 전략이 효과적이고 어떤 것이 그렇지 않은지 파악합니다. 메트릭에는 임프레션, 리치, 팔로워, 참여율, 링크 클릭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브랜드워치의 다양한 소셜 메트릭이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Native advertising (네이티브 광고)
소셜 미디어에서 네이티브 광고는 유료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보이도록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홍보된 게시물은 네이티브 광고의 좋은 예로, 사용자 피드의 일반 게시물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광고 예산으로 도달 범위가 확장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네이티브 광고는 브랜드 리프트를 최대 82%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ewsjacking (뉴스재킹)
뉴스재킹은 뉴스와 하이재킹을 합성한 단어로, 단순히 뉴스나 트렌드에 대한 의견이 아닌 뉴스나 기사 뒤에 초안을 작성하여 사람들이 컨텐츠를 탐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마케팅 효과입니다. 소셜 미디어 관리자들은 최신 뉴스와 관련된 주요 해시태그와 대화에 자신들의 콘텐츠를 결합해 시의적절하고 관련성 있는 모습으로 노출을 얻기 위해 종종 뉴스재킹을 활용합니다.
Objectives (목표)
소셜 광고에서 목표는 광고 캠페인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입니다. 이러한 목표는 추적할 주요 성과 지표(KPI)를 결정하고 광고 지출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많은 광고 플랫폼에서 트래픽, 참여도, 전환, 브랜드 인지도 등 다양한 마케팅 목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Pay-per-click (PPC: 클릭당 비용)
PPC는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비용을 지불하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용어입니다. 이는 주로 트래픽 목표와 관련이 있으며, 광고주의 주요 목표가 웹사이트나 랜딩 페이지 방문자를 늘리는 경우 클릭 수를 기준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Paid partnership (유료 파트너십)
소셜 미디어에서 두 당사자 간에 상업적 관계가 있음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간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인플루언서들은 게시물이나 스토리에서 자신이 언급한 브랜드와 협업했음을 팔로워에게 알리기 위해 유료 파트너십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협찬 #제품 #제품제공 #소정의원고료 #파트너스 #paid #ad #Sponsored
Platform (플랫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종종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나 "소셜 미디어 채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기술적으로 API, 백엔드 및 마크업 언어를 포함한 소셜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반면 "소셜 미디어 관리 플랫폼"이라는 표현은 소셜 미디어 관리자가 소셜 미디어 계정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 도구 세트를 의미합니다.
Reach (리치)
리치는 게시물을 본 사람의 수를 알려주는 소셜 미디어 메트릭입니다. 임프레션과 달리, 사용자가 동일한 게시물을 여러 번 보더라도 하나의 리치로만 계산됩니다. 리치는 콘텐츠의 잠재 고객이 얼마나 큰지 이해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하는 데 있어 진행 상황을 측정하는 중요한 메트릭입니다.
Relevance score (관련성 점수)
관련성 점수는 Facebook Ads Manag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릭으로, 타겟 대상이 광고에 얼마나 잘 반응하고 있는지를 1에서 10까지의 척도로 알려줍니다. 이 점수는 클릭이나 좋아요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 "이 광고를 보고 싶지 않아요"와 같은 부정적인 피드백, 그리고 전체 광고 성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관련성 점수가 높을수록 광고가 타겟 대상에게 더 관련성이 높으며, 다른 광고보다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대상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etargeting (리타겟팅)
소셜 미디어 광고에서 리타겟팅은 이전에 페이지나 웹사이트와 상호작용한 사용자에게 광고를 타겟팅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마케터는 새로운 부츠 광고를 클릭하고 결제 페이지로 이동했지만 구매를 완료하지 않은 사용자를 리타겟팅할 수 있습니다. 리타겟팅은 메타 픽셀을 사용하여 사용자 활동을 추적하거나, 타겟팅할 과거 또는 잠재 고객 목록을 업로드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Sentiment analysis (감성 분석)
감성 분석은 소프트웨어가 텍스트에 대한 감성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감성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고객의 피드백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중립적인지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터들은 또한 고객 상호작용의 평균 감성을 시간에 따라 살펴보고, 그들의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반응이나 청중의 일반적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Shareable content (공유가능한 컨텐츠)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공유 가능한 콘텐츠는 사용자가 자신의 네트워크와 공유할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콘텐츠의 유용성, 재미, 영감을 주는 요소 등 여러 요인이 콘텐츠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합니다. 강한 감정과 반응을 유발하는 콘텐츠도 더 자주 공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Social customer service (소셜 고객 서비스)
소셜 고객 서비스(또는 소셜 고객 관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고객 서비스입니다. 여기에는 고객 문의에 답변하고, 불만 사항을 처리하며,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75%가 전화를 거는 것보다 문자를 선호하기 때문에, 개인 메시징 앱(DM)은 소셜 고객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Social listening (소셜 리스닝)
소셜 리스닝은 소셜 미디어 관리자들이 주요 주제, 용어, 브랜드 등에 대한 대화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종종 특화된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우리의 브랜드워치처럼요! 소셜 리스닝 소프트웨어는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전반에서 언급, 댓글, 해시태그 및 관련 게시물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브랜드들은 종종 이러한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주요 트렌드를 파악하고, 사용자들이 자신과 경쟁사에 대해 어떤 말을 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Brandwatch #BCR
Social media monitoring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은 소셜 리스닝과 자주 혼동되지만, 두 가지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소셜 리스닝은 특정 주제에 대한 대화를 찾기 위해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반면,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은 자신에 대한 언급을 살피고 청중이 말하는 것을 팔로우하는 보다 수동적인 기법입니다. #Brandwatch #SMM
Social media ROI (소셜 미디어 ROI)
소셜 미디어 ROI(투자 수익률)는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에서의 활동이 회사에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얼마나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많은 브랜드의 소셜 미디어 목표가 리드나 판매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생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 ROI를 추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셜 미디어 도구를 사용하면 매우 근접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Brandwatch #SMM
Social selling (소셜 셀링)
소셜 셀링은 간단히 말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판매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종종 영업 사원이 소셜 미디어에서 잠재 고객과 상호작용하여 미래의 판매를 위한 관계를 구축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잠재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거나, 회사의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게시물의 댓글에서 브랜드를 언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Sponsored post (스폰서 포스트)
스폰서 포스트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광고의 한 유형입니다. 스폰서 포스트에는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브랜드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비용을 지불하는 부스팅된 게시물과, 브랜드가 인플루언서에게 비용을 지불하는 유료 파트너십 같은 게시물입니다.
Targeting (타겟팅)
타겟팅은 소셜 미디어 광고 용어로, 광고의 잠재적인 대상을 선택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소셜 광고 플랫폼에서는 연령, 위치, 성별, 관심사 및 다양한 기타 요인에 따라 광고를 볼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타겟팅 옵션은 소셜 미디어에서 효과적인 광고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입니다.
Traffic (트래픽)
트래픽은 특정 웹사이트나 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 맥락에서 트래픽을 늘리는 것은 블로그, 랜딩 페이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 외부의 다른 URL로 청중을 유도하려는 소셜 미디어 마케터의 일반적인 마케팅 목표입니다.
Trending topic (트렌딩 토픽)
트렌딩 토픽은 소셜 미디어에서 갑작스러운 인기를 끌고 있는 주제나 이벤트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는 사람들이 게시하는 주요 해시태그나 주제를 추적하고 "트렌딩 토픽 섹션"을 포함합니다. X(전 트위터)에서는 이 섹션이 현재
"Trends for you"로 불리며 개인화되고 지역화되어 있으며, 인스타그램에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서 트렌드에 맞는 관련 콘텐츠를 볼 수 있는 "Explore" 섹션이 있습니다.
User-generated content (UGC: 사용자 생성 컨텐츠)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는 브랜드를 홍보하는 팬이 만든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UGC는 비디오, 이미지, 게시물, 오디오, 리뷰, 기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브랜드는 종종 UGC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캠페인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팔로워와 신뢰와 충성도를 구축합니다.
Vanity metric
성과의 긍정적인 지표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지 않는 통계입니다. 임프레션은 대표적인 예로, 임프레션 수는 종종 리치보다 크지만, 사람들이 피드에서 게시물을 몇 번 스크롤했는지만 알려줄 뿐, 게시물이 얼마나 인기가 있거나 참여도가 높은지에 대한 더 큰 그림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Viral (바이럴)
바이럴은 소셜 미디어에서 콘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퍼지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콘텐츠를 팔로워와 공유하고, 그 팔로워들이 같은 콘텐츠를 다시 그들의 팔로워와 공유하면서 발생합니다. 바이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끝판왕이라고 볼 수 있죠!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엄청난 고객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소셜 미디어 용어 64가지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소셜 미디어의 세계는 빠르게 변하며, 마케팅의 새로운 진입장벽은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생겨납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광고와 홍보를 게시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첫걸음은
이러한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와 분석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마케팅 성공을 응원합니다. (❁´◡`❁)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디센트릭의 DnA팀을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관련 문의
Web : https://www.dxentric.co.kr/
E-mail : marketing@samhwa.com
#브랜드워치 #Brandwatch #디센트릭 #DXentric #소셜미디어 #소셜모니터링 #빅데이터분석 #ai분석 #소셜데이터분석 #소셜미디어모니터링 #소셜리스닝 #소셜마케팅 #인플루언서마케팅 #소셜인텔리전스 #소셜용어 #소셜이란
Comments